NAS/DS713+ 썸네일형 리스트형 DS713+ DSM 5.0-4458 정식 버전 출시 DS713+ DSM 5.0-4458 정식 버전 출시 DSM 5.0-4458 버전이 정식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업데이트에 대한 세부사항은 여기를 눌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NAS에서 DSM 업데이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SM에 접속하여 제어판 선택합니다. 2. DSM 업데이트를 선택합니다. 3. 다운로드를 선택하여 DSM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DSM 업데이트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DSM 업데이트 순서 및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상세하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 DDNS 설정 DDNS 설정 일반 가정에서 ISP제공업체로부터 서비스 받는 인터넷은 모두 유동IP라 보셔도 무방합니다. 일부 고정IP를 따로 할당 받아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유동IP입니다. IP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IP로 DNS를 갱신하는 것으로 Dynamic DNS(DDNS) 서비스가 있습니다. Synology NAS에서 DDNS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SM에서 제어판 -> DDNS 항목을 선택합니다. DDNS 창에서 추가를 선택하여 DDNS 설정에 진입합니다. Synology NAS에서는 xxxxx.synology.me 로 DDNS를 제공합니다. Synology를 선택하신 후 지금 등록을 선택하세요. 아래와 같으 등록화면에서 호스트 이름 및 이메일주소, Heartbeat 사용 유/무, 패스워.. 더보기 DSM 설치 방법 DSM(DiskStation Manager) 설치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DS-713+ 개봉기 및 HDD 설치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습니다. 초기 HDD를 설치했다면 당연히 기본 프로그램인 DSM을 설치를 진행해야합니다. DSM의 설치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로는 제품 구성에 포함된 설치 CD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설치 CD를 이용한다면 프로그램에서 알려주는 대로 클릭클릭~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웹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따로 특별한 준비물없이 최신 DSM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번에 포스팅하는 방법은 두 번째 방법인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물론 노트북에는 CD드라이브가 없기도하지만..)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DSM 설치를 진행하기 위.. 더보기 DS-713+ 개봉기 및 HDD 설치 방법 드디어 도착한 Synology DS-713+. 일주일만에 도작한 DS-713+의 개봉기 및 기본 설치에대해서 포스팅한다. 개봉기는 박스 사진부터? 국내 Synology 유통사는 대표적으로 에이블과 데카아이엔에스가 있다. 국내에서 A/S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유통사를 통해서 받아야 한다. 하기 사진은 데카아이엔에스 정품 로고 스티커. 하기와 같이 정품 로고 스티커가 있어야 해당 유통사를 통해서 A/S가 가능하다. 정품 로고 스티커는 박스 상단과 NAS 제품 밑면에 같이 붙어있다. 제품 밑면 스티커 부착을 위해서, 수입 통관중 해당 스티커를 부착하기 위해서 박스 개봉 및 포장재를 칼로 살짝 짤라서 로고 스티커 부착을 한다. (데카아이엔에스 커뮤니티 안내에 보면 데카 유통 제품의 경우 자사 시리얼 번호를 관리.. 더보기 DS-713+ 구매 요즘 가장 관심 항목으로 Network Attached Storage(이하 NAS) 이다. 관심을 가지게된 계기가 MacBook으로 변경한뒤이다. 엄밀히 이야기해서 MacBook 때문이 아니라 SSD로 인하여다. 요즘 노트북에는 SSD를 장착한 기종도 있고, 구매후 HDD를 SSD로 변경하는 경우도 많다. 이 SSD로 인하여 NAS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SSD의 특징으로는 매우 빠른 Read/Write 속도이다. 하지만, 단점으로 가격이 고가라는 점이다. (SSD에서도 SSC, MLC, TLC라는 사용한 소자에 따른 특성이 있지만 넘어가고..)간단한 예로 1TB(1000GB) HDD의 경우 6만 5천원 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SSD의 경우 128GB가 10만원이 넘어간다. 1TB라면 76만원 이상....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