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SM 보안 설정 - 서비스 거부(DoS) 보호 설정 서비스 거부(DoS) 보호 설정 디도스 공격이라는 말은 누구나 한번쯤은 뉴스에서 들어봤을 것입니다. 디도스(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란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동시에 동작하게 함으로써 특정 사이트를 공격하는 크래킹 방식의 하나입니다. DSM에서는 이러한 DoS 공격에 대한 보호 설정이 있으며, 매우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1. 제어판 => 네트워스 서비스 탭의 '방화벽 및 QoS' 을 선택합니다. 2. 방화벽 및 QoS에서 보안 탭을 클릭.3. DoS 보호 활성화 체크 박스 선택 후 적용 클릭4. DS-713+와 같이 LAN Port가 2개 이상일 경우 각각에 대해서 DoS 보호 활성화 체크를 해야합니다. (LAN 포트 1, LAN 포트 2 각각 .. 더보기
DSM 보안 설정 - 자동 IP 차단 자동 IP 차단 NAS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시작한지 이제 2일째.. 배우면서 설정을 하다보니 아직까지 모든 작업을 완료하지 못했다. 오늘도 이것저것 만져보며, 사용하다보니 갑자기 눈에 보이는 것이 있었다. 바로 외부 침입흔적... DDNS를 어제 저녁에 설정했는데 단 하루밤사이에 침입시도를 하다니.. 로그에 남아 있는 침입 흔적 어제 DDNS를 설정하고, SSH를 잠깐 사용할 일이 있어서 SSH 서비스를 활성화해두었는데 그것이 화근이였던같다. r00t, bash, root 등 여러가지 계정으로 접속시도 흔적이 남아 있었다. 70.38.71.145 인터넷 정보진흥원 확인 결과 국가코드 CA : 캐나다 국가 IP주소이다. 이렇게 하루만에 침입시도가 이루어진것을 보고 보안의 필요함이 절실하게 느껴졌다. (상기.. 더보기
[Review] Microsoft Remote Desktop Microsoft Remote Desktop 국내에서 Mac만을 사용하기에는 애로점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많은 Mac 유저들은 부트캠프(Boot camp)를 이용하거나, 가상 OS, 원격 Deskto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윈도우 환경을 사용합니다.원격 Desktop App 중 Mac에서 윈도우 원격 Desktop으로 접속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Microsoft Remote Desktop App을 소개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은 Microsoft에서 개발하여 배포하는 App입니다. Mac App Store에 등록되어 있어 언제든지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실행시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원격 Deskto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하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