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ACE는? 어디로..? TRACE는 어디로..? C#에서 Debug.WriteLine();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Visual Stdio C/C++에서 사용되는 TRACE와 관련하여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Visual C/C++에서는 TRACE("Hello~!"); 라고 코딩을 하게 되면 Debug모드에서만 동작하며, 출력창으로 해당 내용이 프린트 되었습니다. 하지만, C#에서는 TRACE() 함수가 없습니다. 대신에 Debug.WriteLine()를 제공합니다. ^^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using System.Diagnostics; 를 상단에 써주시기 바랍니다. ^^ Debug.WriteLine()을 사용하기 위한 참조입니다. ^^ 이제 원하는 위치에서 아래와 같이 넣으시면, 디버깅 동작중 출력.. 더보기
e2fsck! HDD 복구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e2fsck를 이용한 하드 디스트(HDD) 복구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먼저, e2fsck에서 기본적으로 점검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odes 점검 - blocks 점검 - sizes 점검 - 디렉토리구조 점검 - 디렉토리 연결성점검 - 파일링크 정보 - 전체파일갯수 점검 - 전체블록수중 사용중인 블록 점검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정 파일시스템의 점검 및 복구사용예 : [root@omyworld ~]# e2fsck [Device] ※ 특정 파일 시스템 강제 점검 및 복구 옵션 : -f사용 예 : [root@omyworld ~]# e2fsck -f [Device] ※ ext3(저널링)파일시스템의 점검 및 복구옵션 : -j ext3사용 예 : [roo.. 더보기
NateOn 신규 출시 안녕하세요? 오늘 NateOn 메신저가 리뉴얼 되었습니다. Mac 유저분이라면... 기존 NateOn 메신저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과 불편한 점들이 있었는데.. 이번에 업그레이드 되었네요. 완전히 새로운 네이트온이라고 합니다. 기존 설치하셨던 분들은 App Store를 통해서 업데이트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신규 설치하시는 분들은 App Store에서 NateOn을 검색하시거나, https://itunes.apple.com/kr/app/nateon/id501556811?mt=12로 이동하셔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네이트온을 처음 실행하면 나타나는 창입니다. ^^ 기존 계정을 이용해서 로그인하시거나, 아이디가 없으신분의 경우 새 아이디 만들기로 계정을 생성하시면 됩니다. NateOn 로그인이 완료된 화면입니.. 더보기